▲ 청년 실업난이 극심한 가운데 청년 10명 중 7명은 중소기업에 취직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은 '2016 공공기관 채용정보 박람회'를 찾은 구직자들이 취업정보를 살펴보고 있는 모습.

청년 실업난이 극심한 가운데 청년 10명 중 7명은 중소기업에 취직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청년고용 문제 해결책으로는 대·중소기업간 임금 등 근로조건 격차 해소 등을 정부에 요구했다.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8개권역내 대학생과 미취업청년 등 청년 16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6 청년정책인지조사 결과'를 7일 발표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청년 77.3%는 '중소기업에 취업할 의사가 있다'고 답했으며, 직장 선택시 중요사항으로는 '임금과 복지수준(30.9%)'을 '회사규모와 인지도(5.2%)'보다 더 중시하는 것으로 응답했다.

 '나의 적성과 전공, 흥미에 맞는 직무(17.0%)', '근로시간 및 업무량(16.3%)', '업무환경 및 출퇴근시간(13.3%)', '장기적인 기업성장 가능성(11.0%)' 등을 직장 선택 기준으로 꼽은 응답자도 많았다.

전체 응답자의 학력별 분포도가 '고졸 이하' 7.8%, '대학재학' 69.2%, '대학졸업 이상' 23.1%로, 대학졸업(예정)자가 전체의 90% 이상인 점을 고려할 때 상당수의 고학력 구직자들이 근로조건이 우수하면 대기업을 고집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고졸 출신의 한 재직자(29)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급여수준과 근로환경이 너무 차이가 심하기 때문에 청년들이 대기업에만 몰린다"며 "정부가 중소기업을 좀 더 안정적으로 지원해서 그 수준차가 많이 줄어들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다만 많은 청년들은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임금 등의 격차를 우려하고 있었다.

청년고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해야 할 일로는 '대기업·중소기업간 지나친 임금 등 근로조건 격차 해소'가 25.3%로 가장 많이 꼽혔다. 뒤이어 '능력중심 채용문화 확산(22.7%)', '장시간 근로문제 개선(13.2%)'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수도권 대학에 재학중인 한 여대생(21)은 "취업만이 아닌 해고에 대한 불안도 사라져야 한다"며 "힘들게 들어간 직장에서 20대에 퇴직을 해야 하는 청년들의 부담을 고려한다면 노동시장의 구조 자체를 개선하려는 노력이 동반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이번 조사에서 '정부의 청년일자리정책 사업에 관심 있다'는 응답은 71.0%, '청년일자리 정책사업을 더욱 확대될 필요가 있다'는 응답은 86.6%로 나타났다.

청년정책 인지도는 워크넷(75.7%), 면접 등 취업상담(71.7%), 실업급여(70.4%), 대학 취업지원서비스(60.3%) 등의 순으로 높았다.

청년들은 취업성공패키지, 취업컨설팅과 상담, 고용지원금, 직업진로지도서비스, 대학창조일자리센터 등을 통한 대학 내 취업지원서비스 등과 같은 실질적인 취업지원 서비스가 청년고용을 위해 더욱 확대될 필요성이 있다고 응답했다.

또 대학과 고용센터 등에서 청년에게 청년고용정책에 대한 안내문자를 직접 발송하거나, 청년층이 많이 사용하고 익숙한 SNS를 통한 홍보 등을 확대해 청년고용정책을 홍보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했다.

나영돈 고용노동부 청년여성고용정책관은 "이번 조사에서 청년의 86.6%가 청년고용 지원정책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응답한 만큼 취업상담이나 일 경험 등 청년고용지원 서비스를 더욱 확대 하여 정책 체감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들을 다양하게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청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