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국보훈의 달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선열들을 기리는 6월.
이럴 때 일수록 임들의
거룩한 정신을 잊지 않는 
경건한 자세가 필요합니다―

지난 21일은 ‘부부의 날’이었습니다. 부부관계의 소중함을 일깨우고 화목한 가정을 일궈 가자는 취지로 정부가 제정한 법정기념일입니다.

‘부부의 날’의 유래는 1995년 5월 21일 경남 창원에서 권재도 목사부부가 처음 발상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권 목사는 그해 5월 5일 어린이 날 TV에 출연한 한 어린이가 “나의 소원은 우리 엄마, 아빠가 함께 사는 것”이라고 한 말을 듣고 느낀바 있어 ‘부부의 날’ 운동을 시작했다고 하는데 국회 청원을 거쳐 2007년 대통령령으로 정해져 오늘에 이른 것입니다. 부부의 날을 5월 21일로 정한 것은 가정의 달인 5월에 부부는 “둘(2)이 하나(1)가 된다”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

어린이날이 있고 어버이날, 스승의 날, 성년의 날이 있으니 가정의 중심인 부부의 날이 있는 건 너무나도 당연합니다. 어느 가정이나 부부관계는 화목해야 합니다. 일심동체(一心同體)라고 하듯 부부관계가 사랑으로 맺어져 있을 때 가정에 웃음꽃이 핍니다. 가정의 분위기는 절대적으로 부부가 좌우합니다. 부부관계가 사랑으로 맺어져 가정이 행복하다면 굳이 ‘부부의 날’이 있어야 할 이유는 없습니다. 사실 부부간의 사랑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을 만큼 화목한 가정의 기본입니다.

그런데 누군가 행복한 부부생활을 위한 십계명(十誡命)을 정해 모든 부부들이 보고 참고하라고 인터넷에 올려놓았습니다. 부부생활 십계명은 “①두 사람이 동시에 화내지 마세요. ②집에 불이 났을 때 이외에는 고함을 지르지 마세요. ③눈이 있어도 상대의 흠을 보지 말며 입으로 실수를 말하지 마세요. ④아내나 남편을, 다른 사람과 비교하지 마세요. ⑤상대방의 아픈 곳을 긁지 마세요. ⑥분을 품고 침상에 들지 마세요. ⑦처음 사랑을 잊지 마세요. ⑧결코 단념하지 마세요. ⑨숨기지 마세요. ⑩서로의 잘못을 감싸주고 사랑으로 부족함을 채워주도록 노력 하세요” 등입니다.

어느 하나 버릴 것 없는 주옥같은 내용입니다. 좋은 가정은 십계명이 없어도 부부관계가 좋고 아무리 십계명을 그럴듯하게 벽에 써 붙여 논다 한들 부부사이가 나쁜 가정은 평안하지 않기 마련입니다. 사랑이 없는 가정에 행복이 있을 수 없고 평화가 있을 수 없습니다. 아마도 모든 부부들이 이 십계명을 마음속에 새겨두고 그것을 지키기 위해 노력한다면 가정에는 늘 웃음꽃이 필 것이요, 사랑과 평화가 깃들 것입니다.

분명한 것은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이라는 사실입니다. 두 부부간에 사랑이 없으면 가정에 평화는 없습니다. 결국 부부의 불화는 온 가족의 불화가 될뿐더러 가정불화는 부부 두 사람 뿐만 아니라 가족 모두가 피해자가 됩니다.

6월 호국보훈의 달 포스터. 나라를 위해 몸 바친 분들에게 경의를 표하는 경건한 국민적 자세가 필요합니다. /국가보훈처

오늘 이 사회는 돈이 신(神)이 되었다고 할 정도로 모든 사람들이 돈을 모으기 위해 혈안이 되다시피 두 팔을 벌려 허공을 향해 허우적대고 있습니다. 바야흐로 ‘돈 신의 사회’라고 할 만큼 돈이 시대의 최고가치가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돈을 많이 가졌다고 해서 부부관계가 꼭 원만한 것은 아닌 듯합니다. 우리는 돈이 많은 재벌가의 부부 중에도 뜻이 맞지 않아 송사(訟事)를 벌이는 것을 비일비재(非一非再) 보아오고 있습니다. 코로나19로 그 좋은 날들을 모두 그냥 흘려버리고 말았지만 만천하의 부부들이 차분히 ‘부부의 날’의 존재 의미를 생각해 봤으면 좋겠습니다.

어느 사이 ‘계절의 여왕’ 5월이 지나고 신록의 계절인 6월을 맞이합니다. 이제 근교의 산들은 물감을 칠한 듯 날마다 색깔을 바꿔가며 싱그러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근교의 산들은 흰 눈에 덮인 것처럼 하얗게 아카시아 꽃들을 만개시켜 예 의 달콤한 향기로 사람들을 매혹시키고 있으니 시절은 영락없는 신록의 계절입니다.

때맞춰 6월은 ‘호국보훈의 달’입니다. 6일이 현충일이요, 25일이 6·25 발발일이니 어차피 이달은 옷매무새를 가다듬고 나라를 위해 헌신하신 호국 영령들에게 후손으로서의 도리를 다해야 하겠습니다. 국가의 위기가 어떠한 것인가를 다시 한 번 생각하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풍전등화의 위기에서 고귀한 생명을 아끼지 않고 내 던진 선열들의 헌신과 희생이 있었기에 오늘 우리가 이처럼 평안한 삶을 누릴 수 있는 것입니다.

지금 전국에는 국립서울현충원, 국립대전현충원과 4·19민주묘지, 3·15민주묘지, 5·18민주묘지, 영천호국원, 임실호국원, 이천호국원, 산청호국원, 괴산호국원, 신암선열공원 등 국가가 관장하는 묘지가 산재해 있습니다. 그곳에는 서울현충원의 313,788위를 비롯해 대전 현충원의 94,844위 의 순국영령들이 묻혀있습니다. 모두가 국가와 국민을 위해 목숨을 바친 분들입니다.

그런데 묘역 중에는 무명용사 묘역이 있습니다. 전쟁 중 에 전사했지만 정확히 신상이 밝혀지지 않아 무명용사로 처리되어 있는 경우입니다.

국립 서울현충원에는 특별히 눈길을 끄는 묘지도 있습니다. 1970년대 월남전 당시 주월한국군 총사령관을 역임했던 채명신 중장의 무덤입니다. 그는 2013년 11월 25일 88세로 운명하기 전 “내가 죽거든 장군 묘역 말고 사병 묘역에 묻어 달라”는 유언에 따라 전장에서 함께 싸운 일반 병사들 곁에 나란히 누워있습니다. 장군 묘지는 8평이지만 사병 묘지는 1평인데도 말입니다. 후대에 귀감으로 남을 남다른 ‘군인 정신’이 아닐 수 없습니다.

코로니19로 가라앉은 사회분위기에 호국보훈의 달로 더욱 긴장된 6월. 이럴 때 일수록 일거수일투족에 긴장을 풀지 않는 차분한 일상이 필요합니다. 그것만이 위기를 극복하는 국민적 자세입니다.

 

 

 

 

 

저작권자 © 충청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