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화창리 2-3번지에 위치하고 있는 아주신문(鵝洲申門) 삼효각(三孝閣)은 2015년 4월 17일 청주시 향토유적 제15호로 지정되었다.

삼효각은1655년(효종6) 효자(孝子)조산대부(朝散大夫)신협(申鋏, 1605~1691), 1683년(숙종9) 양일당(養一堂) 신지익(申之益, 1596~1640)과 그의 아들 신심(申鐔, ?~?) 부자의 효행을 기리기 위한 정려이다. 숙종 29년 1703년에 이곳에 아주 신씨(鵝洲申氏) 3효자의 효행담을 합쳐 모신 것이다.

삼효각은 1972년에 다시 지은 건물로 정면 2칸, 측면 1칸 겹처마 팔작지붕의 목조 기와집으로 지어졌고 철제로 사면을 둘러 담장 역할을 하고 중앙에 철제문을 설치했다.

정려는 팔각 돌기둥 고주초석(高柱礎石) 위에 나무기둥을 올렸으며, 사면은 홍살로 막고 안에 ‘효자학생신협지문(孝子學生申梜之門)’, ‘효자조산대부행영숭전참봉신지익지문(孝子朝散大夫行永崇殿參奉申之益之門)’, ‘효자학생신심지문(孝子學生申鐔之門)’ 3효자의 정문 편액을 걸었다.

그밖에도 1686년(숙종12)에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이 짓고 수암(遂庵) 권상하(權尙夏) 가 쓴 ‘아주신씨선세사실(鵝洲申氏先世事實)’과 1703년(숙종29)에 장암(丈巖) 정호(鄭澔)가 지은 ‘삼효사실기(三孝事實記)’ 그리고 1762년(영조38)에 송가상(宋可相)이 지은 ‘삼효려중수기(三孝閭重修記)’가 걸려 있다. 밖에는 ‘삼효려(三孝閭)’이라는 현판을 달았다.

그들의 효행을 살펴보면 효자 신협은 어머니가 병환에 들자 손가락을 단지하여 그 피를 마시게 하여 병을 낫게 했고, 어머니께서 한 겨울에 고사리를 먹고 싶다고 하자 추운 겨울산을 헤매고 다녀 고사리를 구해와 맛있게 음식을 해드렸다고 한다. 이렇듯 미원면 화창리의 넓은 들판에 아주 신문 삼효각은 아름다운 효행이야기를 담고 후손들을 품어주고 있다.

*신지익(申之益, 1588~1649)의 본관은 아주(鵝洲), 자는 순거(舜擧), 호는 양일당(養一堂)이다. 승지(承旨)를 지낸 오재(梧齋) 신지제(申之悌)의 종제(從弟)로 학행(學行)이 있었다.

부친을 일찍 여의고 홀어머니를 지극히 봉양하였다. 어머니 병환에 목욕재계(沐浴齋戒) 후 북두칠성(北斗七星)에 빌고, 손가락을 잘라 피를 마시게 하였다. 상(喪)을 당해서는 목 놓아 큰 소리로 울다가 혼절하기도 하였으며, 상중에는 삼베옷을 벗지 않고 집상(執喪)하는 등 효행(孝行)이 높아서 신지익과 사촌 신협(申鋏), 아들 신심(申鐔)과 함께 충북 청주시 청원구 미원면 가양리 솔골 삼효각(三孝閣)에 1703년(숙종29) 효로써 정려(旌閭)되었다. 손자 신응태(申應泰)는 우암(尤庵)의 문인으로 학문이 뛰어나고, ≪사서제요도설(四書提要圖說)≫ 등 많은 저술을 남겼다.

우암 송시열(宋時烈)이 행장(行狀)을 찬(撰)하였고, 공(公)에 대한 일이 ≪삼강록(三綱錄)≫에 기재되었다. 청주(淸州)의 검암서원(儉巖書院)에 배향(配享)되었다.

≪청주대 교수 겸 지역가치창출센터장≫

저작권자 © 충청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