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소

      정지용

서낭산ㅅ골 시오리 뒤로 두고

어린 누의 산소를 묻고 왔오.

해마다 봄ㅅ바람 불어를 오면,

나드리 간 집새 찾어 가라고

남먼히 피는 꽃을 심고 왔오.

경남 남해군 설천면 한 도로가에 심어진 겹벚꽃이 싱그러운 봄 바람에 흩날리고 있다./ 사진 출처 뉴시스.

‘묻고’의 ‘묻다’는 ‘물건을 흙이나 다른 물건 속에 넣어 보이지 않게 쌓아 덮다.’의 의미이다. 예문으로는 ‘밥을 식지 않게 아랫목에 묻다. 나는 다시 손안의 물건들을 나무 밑에 묻고 흙을 덮었다.≪오정희, 중국인 거리≫’ 등이 있다.

‘나드리’의 ‘나드리/나들이’는 집을 떠나 가까운 곳에 잠시 다녀오는 일이며, ‘바깥나들이’라고도 한다. 예문으로는 ‘휴일 공원에는 나들이 인파로 발 디딜 틈이 없었다. 어머니도 일 년 만에 만나는 자식이 반갑다는 기색은 없이 잠깐 나들이로 들여다보러 온 사람 같다.’ 등이 있다. 변천 과정은 ‘나들이<나드리<번노>←나-+들-+-이’이다.

한글 맞춤법 제23항 ‘-하다’나 ‘-거리다’가 붙는 어근에 ‘-이’가 붙어서 명사가 된 것은 그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예를 들면, ‘깔쭉이/깔쭈기, 꿀꿀이/꿀꾸리, 눈깜짝이/눈깜짜기, 더펄이/더퍼리, 배불뚝이/배불뚜이, 삐죽이/삐주기, 살살이/살사리, 쌕쌕이/쌕쌔기, 오뚝이/오뚜기, 코납작이/코납자기, 푸석이/푸서기, 홀쭉이/홀쭈기’ 등이 있다.

‘깔쭉이’는 ‘둘레가 톱니처럼 깔쭉깔쭉하게 생긴 은전(銀錢)’을 속되게 이르는 말이다. ‘더펄이’는 ‘성미가 침착하지 못하고 더펄거리는 사람’을 일컫는다. ‘푸석이’는 ‘무르고 부스러지기 쉬운 물건’으로 아주 무르게 생긴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이다. ‘오뚝이[不倒翁]’는 사전에서 ‘오똑이’로 다루던 것인데 표준어 규정에서 ‘오뚝이’로 바꾸었으며, 부사도 ‘오뚝이’로 적는다.

‘-이’가 붙어서 명사가 된 경우에 그 원형을 밝혀서 적도록 한 것으로 ‘-하다’나 ‘-거리다’가 붙는 것은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더펄거리다)더펄이’, ‘(삐죽거리다)삐죽이’, ‘(살살거리다)살살이’, ‘(푸석하다)푸석이’는 통일안에서 ‘더퍼리, 삐주기, 살사리, 푸서기’로 하였던 것을 이번에 바꾸었다.

저작권자 © 충청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